숙대 '랩인큐브' 스킨부스터 개발…첫 교내 사업 성과

작성자
labincube
작성일
2024-01-17
조회
75
[서울=뉴시스]김수아 인턴 기자 = 숙명여자대학교가 보유한 핵심 기술인 ‘인큐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병원용 스킨부스터 제품이 출시됐다.

숙명여대는 최경민 화공생명공학부 교수가 창업한 랩인큐브에서 스킨부스터(피부기능강화제) ‘플라큐브'(pllacube)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플라큐브는 피부 미용에 관심은 있지만 시술의 부작용이나 통증을 우려하는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제품이다. 과거 보톡스나 필러 등의 시술을 선호하던 것과 달리 자연스럽고 편안한 방식을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가 반영됐다.

플라큐브는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폴리엘락틴산(PLLA) 성분을 비롯해 글루타티온, 비타민C 등 6가지 복합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동결 건조 방식을 적용해 유효 성분의 변성을 방지하고 즉시 수화 할 수 있다는 점이 혁신 포인트다.

랩인큐브는 폴리엘락틴산의 불규칙한 입자를 균질하게 최적화해, 그동안 주로 필러에만 사용하던 해당 성분을 스킨부스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숙명여대의 원천기술인 '인큐브(INCUBE) 플랫폼 기술'을 통해 글루타티온과 비타민C를 분자 캡슐로 보호해 소비자가 사용할 때까지 물질이 변하지 않도록 했다.

 

이는 숙명여대가 교육부의 브릿지 3.0사업(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을 통해 유망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업화한 결과다. 숙명여대 산학협력단과 기술지주회사는 최 교수가 창업한 랩인큐브를 ’숙명 스파크 업스(Spark-Ups)' 창업 기업으로 지정하고 투자 유치, 공동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한다.

오중산 숙명여대 산학협력단장은 “랩인큐브는 대학이 보유한 혁신적인 소재 기술을 뷰티 산업에 적용해 사업화에 성공한 첫 번째 사례”라며 “앞으로 랩인큐브와 같은 제2, 제3의 숙명 스파크 업스 창업 기업을 발굴해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