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세계 최초 줄기세포 자동 분화 플랫폼 개발
작성자
labincube
작성일
2022-05-06
조회
73
[스마트경제=복현명 기자] 최경민 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교수(랩인큐브(주) 대표 겸직)팀이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사용되는 신경줄기세포를 외부 분화인자 처리없이 고효율로 취득하는 새로운 줄기세포 분화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본 기술이 상용화되면 줄기세포 기반의 다양한 치료제 생산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김태형 중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Science 자매지인 Secience Advances(IF: 14.136)에 4월 20일자로 게재됐다.
줄기세포는 ‘분화’라는 과정을 통해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전환이 가능한 세포로서, 퇴행성,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 연구에 중요하게 쓰인다. 실제 생체 내의 줄기세포는 복잡한 생체 정보 뿐만 아니라 분화,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끊임없이 공급받으며 다양한 거동이 조절된다. 따라서 줄기세포 치료제의 분화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실제 생체 내 환경의 특성을 모사한 실험실 배양 환경 조성이 핵심적이다.
현재 다양한 나노구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원하는 세포를 얻기 위한 핵심 분화기술은 여전히 다양한 분화 및 성장인자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불연속적 공급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줄기세포 분화 효율, 세포 취득률이 크게 변동한다는 한계가 있다.
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의 실험실 환경에서 신경줄기세포의 신경분화를 자동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실제 생체 내 환경 특성을 모사하고 줄기세포의 분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줄기세포 분화플랫폼을 개발했다.
본 플랫폼은 신경줄기세포의 신경분화에 유리한 나노 홀 패턴과 장기간 일정하게 신경분화에 필수적인 인자를 방출할 수 있는 금속-유기 골격체 나노입자로 구성된다. 플랫폼은 분화 유도 인자를 담지한 금속-유기 골격체 나노입자가 단일 나노 홀 내부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구성한 세계 최초의 세포 배양 플랫폼이다.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은 줄기세포 분화를 자동 유도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줄기세포 분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신경줄기세포 뿐만 아니라 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등을 포함해 다른 종류의 줄기세포 분화에도 활용할 수 있어 퇴행성,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기반의 세포 치료제 생산에 새로운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출처 : 스마트경제(http://www.dailysmart.co.kr)
본 기술이 상용화되면 줄기세포 기반의 다양한 치료제 생산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김태형 중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Science 자매지인 Secience Advances(IF: 14.136)에 4월 20일자로 게재됐다.
줄기세포는 ‘분화’라는 과정을 통해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전환이 가능한 세포로서, 퇴행성,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 연구에 중요하게 쓰인다. 실제 생체 내의 줄기세포는 복잡한 생체 정보 뿐만 아니라 분화,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끊임없이 공급받으며 다양한 거동이 조절된다. 따라서 줄기세포 치료제의 분화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실제 생체 내 환경의 특성을 모사한 실험실 배양 환경 조성이 핵심적이다.
현재 다양한 나노구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원하는 세포를 얻기 위한 핵심 분화기술은 여전히 다양한 분화 및 성장인자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불연속적 공급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줄기세포 분화 효율, 세포 취득률이 크게 변동한다는 한계가 있다.
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의 실험실 환경에서 신경줄기세포의 신경분화를 자동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실제 생체 내 환경 특성을 모사하고 줄기세포의 분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줄기세포 분화플랫폼을 개발했다.
본 플랫폼은 신경줄기세포의 신경분화에 유리한 나노 홀 패턴과 장기간 일정하게 신경분화에 필수적인 인자를 방출할 수 있는 금속-유기 골격체 나노입자로 구성된다. 플랫폼은 분화 유도 인자를 담지한 금속-유기 골격체 나노입자가 단일 나노 홀 내부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구성한 세계 최초의 세포 배양 플랫폼이다.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은 줄기세포 분화를 자동 유도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줄기세포 분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신경줄기세포 뿐만 아니라 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등을 포함해 다른 종류의 줄기세포 분화에도 활용할 수 있어 퇴행성,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기반의 세포 치료제 생산에 새로운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복현명 기자 hmbok@dailysmart.co.kr
출처 : 스마트경제(http://www.dailysmart.co.kr)